[634호] 공공운수노조 / 공공기관 총파업 총력투쟁 결의대회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5-09-26 |
---|
본문
공공운수노조(위원장 엄길용)는 17일 총파업·총력투쟁대회를 열고 공공기관 정책 전면 전환을 정부에 촉구했다. 공공노동자들은 ‘공공성 강화·민주적 운영·노동권 보장’을 위한 공공기관 정책 전환을 요구하며 하루 파업했다.
이날 오후 서울 중구 세종대로에서 열린 총파업·총력투쟁대회에는 노조 추산 1만여명이 모였다. 20여년 만에 최대 규모 공동파업에 나선 노조 의료연대본부 국립대병원(강원대·경북대·서울대·충북대병원) 노동자와 철도·연금·지하철·공공기관 콜센터 노동자들이 함께했다.
엄길용 위원장은 대회사에서 “정부는 공공기관을 민주적으로 혁신하겠다는 공약을 걸고 당선됐지만 최근 정부가 내놓은 대책은 규제완화·구조조정이라는 낡은 프레임만 반복됐다”며 “총인건비제 전면 개선, 직무급제와 혁신가이드라인 폐기, 비정규직 정규직화, 안전인력 충원 약속을 지키기 위해 정부는 책임있는 자세로 노정교섭에 나서라”고 말했다.
노조는 공공부문 현장에서 이재명 대통령 공약이 후퇴를 거듭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달 기재부가 내놓은 경제전략은 시장 중심으로 공공기관을 평가하겠다는 내용이 담겼고, 이달 초 발표한 공공기관 안전강화 방안은 실효성 있는 대책을 찾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노조는 공공기관 정책 개편을 위해 윤석열 정부 때 추진된 구조조정 방안을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김태균 서울교통공사노조 위원장은 “공공기관을 강제로 통폐합하고 무차별적으로 인력을 줄이고 안전을 외주화한 윤석열표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은 뿌리부터 도려내고 분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조는 이날까지 쟁의권을 확보한 사업장 조합원이 3만명에 이른다고 밝혔다. 이후 추가로 쟁의조정을 마치면 10만여명의 노동자가 쟁의권을 얻는다. 이날 파업에도 정부 입장변화가 없다면 노조는 11월과 12월 파업 규모가 확산한다고 예고했다.
노조는 이날 결의대회가 끝난 뒤 숭례문에서 대통령실 인근 서울 용산구 삼각지역까지 행진했다.
우리 노조는 변세일 수석부위원장을 포함해 약 30명(국토연, 에너지경제연, 핵융합에너지연, 조세재정연, 대전세종연, 육아연, 과학기술기획평가원, 부산연, 농촌경제연, 정보통신정책연, 특허기술진흥원 등)이 참석해 결의를 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