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

전국공공연구노동조합은 회원의 이메일 주소를 보호합니다.

본 웹사이트에 공개되어 있는 이메일 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며, 자동으로 이메일 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이나 그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이메일 주소를 수집할 경우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등에 관한 법률 제 50조의 2와 제 65조의 2에 따라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성명/보도
참여광장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350호] [세상을 보는 창] 김용균들을 지키는 김용균법으로 > 주간소식

[350호] [세상을 보는 창] 김용균들을 지키는 김용균법으로 > 주간소식
본문 바로가기

소식마당
홈 > 소식마당 > 주간소식


주간소식 목록 공유하기

[350호] [세상을 보는 창] 김용균들을 지키는 김용균법으로

작성자 오수환 작성일 19-02-01

본문

문재인 대통령에게 비정규 노동자와 직접 만나 달라고 호소했던 청년 비정규직 고 김용균씨가 태안 화력발전소에서 목숨을 잃은 지 50일이 지났다. 시신은 아직 차가운 냉동고에 있다. 김용균씨는 산업안전보건법 전부개정의 씨앗이 됐지만 그의 죽음은 진상이 온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동료들은 지금도 발전소 하청회사 직원으로 위험작업을 하고 있다. 유가족과 노동계는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발전소 비정규직의 직접고용 정규직 전환을 요구하며 정부 답변을 기다리고 있다.

 

김용균법 이라고 불렀다. 산업안전보건법이라는 엄연한 이름이 있음에도 다들 그렇게 불렀다. 지난해 말 석탄화력 발전소에서 홀로 위험하기 짝이 없는 업무를 수행하다가 사망한 청년노동자의 이름을 딴 것이다. 그의 죽음에는 원·하청 문제, 위험의 외주화, 청년 취업난과 결부된 제대로 된 일자리(decent work)의 문제가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 착하고 성실했던 외동아들의 죽음에 각성한 어머니는 위험한 일터에서 아슬아슬한 노동을 이어 가는 모든 노동자들의 부모 마음을 대변하기로 했다. 아들의 죽음과 어머니의 애씀으로 잠들어 있었고 외면당하고 있었던 산업안전보건법 전부개정안 통과 여부가 연말 정국에 주요한 뉴스거리가 됐고 여론을 움직였으며 우여곡절을 거쳐 통과됐다.

 

이제 할 일은 개정된 산업안전보건법이 2의 김용균이 생기지 않도록 역할을 하게 만드는 것이다. 하지만 김용균이 살아서 일하고 있었더라도 개정된 김용균법이 그를 위해 별다른 역할을 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여기저기서 등장하고 있다. 물론 28년 만에 전부 개정된 산업안전보건법에는 많은 진전이 있었다. 하위 법령인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시행규칙 그리고 많은 고용노동부 고시들도 모법 개정에 따라 개정작업을 거쳐야만 한다. 그 과정에서 법조문 하나, 단어 하나가 어떻게 되는가에 따라서 우려가 현실이 될 수도 있다. 차별적 예외는 줄이되, 배려는 높아져야 한다. ·제도의 안정을 흔드는 것은 정의가 분명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입법 취지에 맞게 적용하고 해석하지 않는 것에 있다. 반드시 후속작업에 여론의 관심이 지속돼야 한다.

 

정부가 입법예고한 산업안전보건법 전부개정안 591항은 사업주는 안전과 보건에 유해하거나 위험한 작업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은 노동부 장관의 승인을 받지 않으면 같은 사업장 내에서 도급할 수 없다로 돼 있었지만 국회 심의를 거치면서 사업주는 자신의 사업장에서 안전 및 보건에 유해하거나 위험한 작업 중 급성 독성, 피부 부식성 등이 있는 물질의 취급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을 도급하려는 경우에는 노동부 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로 적용범위를 매우 협소하게 줄여 버리고 말았다. 마치 특정 위험물질을 취급하는 업무에만 적용되는 것처럼 보이게 되고 말았다. 더 들여다보면 도급을 주기 위해서는 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유해하거나 위험한 작업을 대통령령으로 정하게 돼 있다. 적극적으로 해석하고 대상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취급하는 물질이 아니라 죽음을 무릅쓴 석탄발전소 낙탄 제거와 같이 업무 자체의 위험 여부에 따라서 판단하도록 해야 한다. 어떤 의도로 넣었을지 뻔히 짐작되는 급성 독성, 피부 부식성 이 있는 물질의 취급 ’”은 하나의 예시로만 받아들이도록 해야 한다.


·하청 간의 왜곡된 도급구조로 인한 위험의 외주화가 현실이라면, 구분해 차별할 것이 아니라 포괄적으로 법적 보호 대상으로 둬야 한다. 기업의 풍토와 사회의 수준이 성장해 원·하청 간 안전보전 관리수준의 격차가 줄어들게 되면

자연히 다시 하위 법·제도를 손보면 될 일이다.

김용균으로 인해 통과돼서가 아니라 수많은 김용균들을 지키고 보호하는 법이라야 마땅히 그 이름을 붙여 부를 수 있는 것이다.

[] 매일노동뉴스 

첨부파일

첨부파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신성남로 41, 5층 (신성동, 새마을금고)
전화 : 042-862-7760 | 팩스 : 042-862-7761
전국공공연구노동조합 홈페이지는 정보를 나눕니다. No Copyright Just Copyleft!